본문 바로가기
사회조사분석사 2급/필기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 조사방법론Ⅰ - 1.사회과학적 방법 (1)

by mine-dong 2020. 12. 30.

2020/12/29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소개 :: 출제 방식, 과목, 철차

 

"사회조사분석사 2급" 소개 :: 출제 방식, 과목, 철차

사회조사분석사 ?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조사, 여론조사 등의 계획 수립 및 조사를 담당,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검토하고 분석해 통계보고서를 작성하는 전문가 공무원(통계직)시험시 가산점

min-dong.tistory.com

제1과목 조사방법론

Chapter 1. 사회과학적 방법 - 1. 개론

 

1. 과학적 방법

 

 (1) 과학적 방법의 의의

     - 현상, 개념, 가설, 검증의 과정으로 이론을 도출해 내는 것(종합체계적인 실험활동으로 일반적 원칙을 밝히는 것)

 

 (2) 과학적 방법의 목적

     - 인과관계 규명(실험과 이해를 통해 원인과 결과를 설명)

     - 일반화(반복, 검증과정을 통해 규칙을 발견하고 이를 일반화해 이론으로 만들기)

     - 예측 및 통제(일반화로 얻은 이론을 통해 새롭게 분석, 예측 및 체계화로 적절하게 통제)

 

 (3) 과학적 지식의 특징

     - 재생 가능성(Reproducibility)

        : 과학 지식은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결과가 재현되어야 한다.

     - 경험성(Empiricism)

        : 연구대상이 인간의 감각에 의해 지각될 수 있어야 한다.

     - 객관성(Objective)

        : 동일한 실험에서 표준화된 도구와 절차 등을 통해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야 한다.

     - 간주 관성(Intersubjective)

        : 주관이 다른 연구자들이라도 그 연구과정과 결과가 이해되어야 한다. (=상호 주관성)

     - 체계성(Systematic)

        : 연구의 과정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업적들로부터 확고한 이론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한다. 

     -변화 가능성(Changeable)

        : 기존 신념이나 연구결과는 언제든지 수정될 수 있다. 

 

 (4) 지식 탐구 방법

     - 관습에 의한 방법

     - 권위에 의한 방법

     - 직관에 의한 방법

     - 신비에 의한 방법

     - 과학에 의한 방법

 

 (5) 과학적 방법의 논리 전개 방식

     ① 연역법과 귀납법

       - 연역법 : 참으로 인정된 보편적 원리를 현상에 연역시켜 설명하는 방법

                    법칙, 이론으로부터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도출하는 방법

                    가설 설정→조직화→관찰, 경험→검증

                    ex) 모든 사람은 죽는다. → 나는 사람이다. 나는 죽는다.

       - 귀납법 : 관찰과 자료의 수집으로 보편성을 가지는 하나의 결론을 내리는 방법

                    주제 선정→관찰→보편성 발견→결론

                    ex) 1번 까마귀는 검은색이다, 2번 까마귀는 검은색이다, … , 99999번 까마귀는 검은색이다.

                        →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이다.

     ②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 연역법은 경험적 검증을 통해 현상을 연구 없이 논리적으로 검증한다는 것에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 

         그러나, 최초 이론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귀납법은 어느 정도의 자료만으로 일반화 법칙을 만들 수 있다는 것에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

         그러나, 이론적 배경 없이 의미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는 데 한계가 있다.

       - 연역법과 귀납법은 서로 대비되는 장, 단점을 가지므로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진다

 

2. 과학에 있어서 가치와 윤리

 

 (1) 사회과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가치

    ① 가치의 의의

        - 존재에 대치되는 당위에 관한 것

        - 목표를 결정하는 기준

        - 가치는 신념이고 선호이며, 가정이다.

    ②  과학이 가치와 관련된 점

        - 연구결과의 발표나 연구대상의 선정 등에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어 객관성이 저해될 수 있다.

        - 과학적 명제가 항상 참은 아니다.

        - 과학적 방법이라고 가치판단을 무조건 거부하면 오히려 객관성을 상실할 수도 있다.

 

 (2) 사회과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윤리

    ① 윤리의 의의

        -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 과학이 인간을 실험대상으로 타당한 예측을 하는 경우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② 과학적 방법의 윤리문제

        - 연구내용상의 윤리문제 : 연구대상은 사회적 통념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내용은 인간에게 이익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 연구과정상의 윤리문제 : 연구대상의 생명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연구 내용을 어느 정도 비밀로 해야 하는지 의문을 가진다.

        - 연구결과상의 윤리문제 : 프라이버시를 어떻게 보장할지, 연구결과에 대한 책임 또는

                                          이익 분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3)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방법론 비교

사회과학 자연과학
일반화가 용이하지 않음 일반화 용이
사고의 가능성이 제한, 명확한 결론을 얻기 어렵다. 사고의 가능성이 무한, 명확한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인간의 형태와 사고를 대상 자연현상 등을 대상
사회문화적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사고의 도식화를 강조
새로운 이론도 기존 이론과 단절되지 않는다. 새로운 이론은 기존 이론과 전혀 다르다.
연구자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연구자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