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조사분석사 2급/필기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 조사방법론Ⅰ - 1.사회과학적 방법 (3)

by mine-dong 2021. 1. 20.

2021/01/19 - [사회조사 분석사 2급/필기]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기 :: 조사방법론Ⅰ - 1. 사회과학적 방법 (2)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 조사방법론Ⅰ - 1.사회과학적 방법 (2)

·2020/12/30 - [사회조사분석사 2급/필기] -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 조사방법론Ⅰ - 1.사회과학적 방법 (1)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 조사방법론Ⅰ - 1.사회과학적 방법 (1) 2020/12/29 - [사회조사분

min-dong.tistory.com

제1과목 조사방법론

Chapter 1. 사회과학적 방법 - 3. 연구의 요소

 

1. 개념

 

 (1) 개념의 의의

    - 개념은 일정한 사실에 대한 추상적 표현

    - 현상을 인지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

    - 명제나 이론에서 밑바탕을 이루는 역할 

 

 (2) 개념의 조건

    - 한정성과 명확성

    - 통일성

    - 범위의 고려

    - 체계적 의미

 

 (3) 개념의 기능

    - 추상적 현상에 대해서도 이해 가능한 방법 제시

    - 기호와 언어로 표시될 수 있어 지식의 축적 및 팽창 가능

    - 연역적 결과를 가져온다

 

 (4) 개념의 전달

   ① 정의

       - 과학적 사실은 모든 관찰자에게 똑같이 나타나야 한다

       - 과학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모두에게 똑같이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② 개념적 정의

       - 연구대상을 개념적으로 정의하는 것

       -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다른 개념을 사용, 추상적, 일반적, 주관적이다

       - 중의성을 띠면 안 된다

   ③ 조작적 정의

       - 추상적 개념들을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체화한 것

       - 확인 가능한 정의에 불과

   ④ 재개념화

       - 개념을 보다 명백히 재규정

       - 조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2. 이론

 

 (1) 이론의 의의

    - 변수 간 관계를 밝혀 현상에 대한 견해를 제공하는 개념 및 정의 또는 명제

    -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 일반성을 포함하는 진술

    - 함축적이고 연역 가능성이 있는 가설

    - 이론은 가설을 검증한다

 

 (2) 이론의 기능

    - 과학의 주요 방향 결정

    - 현상의 개념화 및 분류화

    - 요약

    - 사실의 예측 및 설명

    - 지식의 확장

    - 지식의 결함 지적

 

 (3) 이론평가의 기준

    - 정확성

    - 일반성

    - 간명성

    - 인과성

 

 (4) 이론과 관련된 제개념

   ① 명제

       - 경험적 근거가 확인된 가설

       - 두 개 이상의 개념을 포함

       - 명제가 몇 개 묶인 것이 이론

   ② 법칙

       - 높은 수준으로 확증된 명제

       - 종종 이론과 동일시

   ③ 사실

       - 감각에 의해 발아들 여진 것

       - 개념 간 관계, 개념의 논리적 결합


3. 변수

 

 (1) 변수의 의의

    - 연구대상의 계량적 수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개념

 

 (2) 변수의 속성

    - 경험적 현실의 전제

    - 현상의 속성 지시

    - 계량화

    - 속성의 연속성

 

 (3) 변수의 종류

   ① 변수 간 기능적 관계를 중심으로 분류

       - 독립변수 : '원인적 변수', '가설적 변수', 원인이 되는 변수

                       실험 연구에서 조작되는 변수, 사회조사연구에서는 논리적 선행조건

       - 종속변수 : '결과적 변수', 독립변수를 원인으로 전제된 결과 변수

                       실험 연구에서 결과적인 예측 변수

       - 통제 변수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3의 변수를 통제하는 변수

       - 매개변수 : 독립, 종속변수 간 직접적 연관이 없으나 제3의 변수가 두 변수 사이의 매개 역할을 하여                                         두 변수의 관계를 만드는 변수

                       독립변수의 결과인 동시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

       - 외생변수(외재 변수) : 독립, 종속변수 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변수

       - 선행 변수 : 독립변수에 앞서면서 이에 유효한 영향을 주는 변수

       - 억압 변수(억제 변수) : 변수 간 상관관계가 있으나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제3의 변수

       - 왜곡 변수 : 변수 간 관계를 어떤 식으로든 왜곡시키는 제3의 변수

                       변수 간 관계를 정반대로 왜곡시킨다는 점에서 억압 변수와 차이가 있다

       - 조절 변수 : 독립, 종속변수 사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제2의 독립변수

 

   ② 변수가 갖는 속성의 정도를 중심으로 분류

       - 이산 변수(불연속 변수) : 명목 척도, 서열 척도로 측정되는 변수

                                       값과 값 사이의 값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

                                       ex) 성별, 종교, 학력, 학교 등

       - 연속 변수 : 등간 척도, 비율 척도로 측정되는 변수

                       값과 값 사이의 값이 의미를 가진다

                       ex) 연령, 소득, 키, 거리 등

       - 더미 변수 : 질적 변수를 수치로 변환한 것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ex) 대학교 졸업 유무, 보험가입 여부 등


4. 가설

 

 (1) 가설의 의의

    - 검증되지 않은 명제

    - 잠정적인 응답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 형태로 표현

 

 (2) 가설의 근원

    - 일상생활의 관찰

    - 과거의 연구조사

    - 일반이론에서 연역적으로 도출

    - 연구자의 직관

 

 (3) 가설의 조건

    - 명료성

    - 한정성

    - 가치중립성

    - 검증 가능성

 

 (4) 가설의 종류

   ① 식별 가설

       - 사실의 성질과 기능, 형태를 묘사하는 가설

       - 사물의 성질, 형태, 크기 위치 등을 제시

       - '~은 ~이다'의 표현양식을 가진다

   ② 설명적 가설

       - 사실과 사실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

       - '왜'에 대한 대답

       - '~하면 ~하다', '~할수록 ~하다'의 표현양식을 가진다

   ③ 연구가설

       - 연구 문제에 대한 답

       - 실험적 가설, 과학적 가설이라고도 한다

       - '~와 ~는 ~의 관계를 가진다'의 표현양식을 가진다

   ④ 영가설(귀무가설)

       - 연구가설과 반대의 입장을 가지는 가설

       - '~와 ~는 ~의 관계를 가지지 않는다'의 표현양식을 가진다

   ⑤ 대립 가설

       - 영가설에 대립되는 가설

       - '~의 관계(차이)가 있을 것이다

   ⑥ 통계적 가설

       - 둘 이상의 집단 간 차이나, 한 집단 내 관계 등을 묘사하기 위해 설정하는 가설

       - 통계적 대립 가설, 통계적 귀무가설로 구분된다

 

 (5) 가설의 기능

    - 이론의 검증

    - 이론의 제시

    - 사회현상의 기술

    - 현실의 개선

 

 (6) 가설의 평가기준

    - 경험적 검증 가능성

    - 입증의 명백성

    - 가설 자체의 개연성

    - 논리적 간결성

    - 계량화 가능성

댓글